그 전까지 개인깃허브 아이디를 이용하여 회사 업무를 했는데, 개인용과 업무용으로 분리 하고 싶어졌다.

새 프로젝트부터 업무용 아이디를 공유해서 작업하려고 git clone를 하려 하는데 에러가 발생했다.

 

PS C:\Users\mj\mjwork\프로젝트> git clone https://gitlab.com/프로젝트/프로젝트_뎁스
remote: The project you were looking for could not be found or you don't have permission to view it.
fatal: repository 'https://gitlab.com/프로젝트/프로젝트_뎁스.git' not found

 

기존 깃 아이디가 충돌 되서 그런가 해서 해당 프로젝트 사용할 폴더에서만

git config user.name
git config user.email 

새로 정보 등록해주었지만, 제대로 처리 되지 않고 여전히 에러를 뱉어냈다.

 

해결방법

1. 오리진을 재설정하기

git remote set-url origin https://본인깃랩아이디@gitlab.com/프로젝트/프로젝트_뎁스.git

2. 깃 시작하기

git init

이렇게 진행했더니 글로벌 등록했던 개인용이 아닌 재설정한 리모트의 권한이 있는 아이디와 비번을 확인 액션이 생겨서 정상 처리 되나보다 했다. 

 

원래는 1~2까지만 하면 프로젝트 생성엔 문제가 없다.
하지만 나란인간은 새 프로젝트에 새로운 이메일주소로 초대 받고, 그에 해당하는 유저정보...비밀번호를 등록하지 않아 아래 에러를 뱉어 낸것으로 확인됐다.. 해당프로젝트 깃랩에 비밀번호 설정하고 1~2번 시도하니까 깔끔하게 완료....
ㅎ ㅏ..

 

하지만, 새로운 에러를 뱉어냈는데,

PS C:\Users\mj\mjwork\mobilink> git clone https://본인깃랩아이디@gitlab.com/프로젝트/프로젝트_뎁스.git
Cloning into '프로젝트_뎁스'...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https://본인깃랩아이디@gitlab.com/프로젝트/프로젝트_뎁스.git/'

 

결국, 자동로그인이 문제였던거 같다.

관리자 권한으로 cmd를 실행하여 아래 코드를 입력하고

유저정보를 재등록 하였다. (글로벌은 사용하지 않았다. 해당프로젝트에서만 이 아이디를 사용할거니깐!)

 

3. 자동로그인 풀기

git config --system --unset credential.helper

 

4. 유저정보 재등록

git config user.name
git config user.email 

 

5. 다시 clone

git clone https://gitlab.com/프로젝트/프로젝트_뎁스.git

 

이러면 정상 처리 오나료!!

remote: Enumerating objects: 11,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100% (11/11),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7/7), done.
remote: Total 11 (delta 0), reused 0 (delta 0), pack-reused 0
Unpacking objects: 100% (11/11), done.

728x90

+ Recent posts